loading
본문 바로가기
투자 주식 코인 재테크

지니어스 법안 스테이블코인 규제 속 리플의 은행 업무 신청 배경

by 에카의 미래집 2025. 7. 6.
반응형

목차

서론: 디지털 금융 혁명의 교차로 – 규제와 혁신의 만남

글로벌 금융 시스템은 현재 전례 없는 디지털 전환의 거대한 흐름 속에 놓여 있다. 블록체인 기술과 가상자산은 전통 금융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이는 단순한 기술적 진보를 넘어 금융 서비스의 근본적인 재편을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 동력 중 하나로 스테이블코인이 급부상하고 있으며, 그 가치 안정성과 효율성으로 인해 전통 금융 시스템과의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리플(Ripple)은 국경 간 결제 시장의 고질적인 비효율성을 해소하기 위한 혁신적인 블록체인 기반 솔루션을 제공해 온 선도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리플의 XRP(XRP Ledger의 네이티브 토큰)와 RippleNet은 기존의 전통적인 송금 방식, 예를 들어 SWIFT(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 시스템에 비해 월등히 빠른 속도와 현저히 낮은 비용으로 국경 간 거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부각하고 있다.[1, 2, 3]

 

본 보고서는 미국에서 추진 중인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인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의 핵심 내용과 그 시장 파급 효과를 심층 분석한다. 동시에 리플이 최근 미국 연방 은행 인가를 신청한 배경과 그 전략적 의미를 조명하고, 이러한 움직임이 기존 금융기관과의 경쟁 및 협력 관계에 어떤 새로운 지형을 형성할지 예측한다. 궁극적으로, 리플이 성공적인 제도권 금융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뒷받침을 진단하고, 이러한 규제와 혁신의 조합이 실현될 미래 금융 시스템의 비전을 제시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안한다.

 

제1부: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의 핵심과 스테이블코인 규제 지형

지니어스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입법 배경

지니어스 법안은 '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for U.S. Stablecoins Act of 2025'의 약칭으로,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운영 방식을 제도화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4] 이 법안은 미국 최초로 연방 차원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5] 현재 법안은 미국 상원을 통과했으며, 하원 심의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남겨두고 있어 빠르면 다음 달(7월) 중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4, 5, 6]

 

주요 규제 내용을 살펴보면, 스테이블코인 발행자는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발행자는 반드시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하며,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1:1 비율로 준비금을 확보해야 한다.[6, 7] 이 준비금은 현금이나 단기 미국 국채와 같은 고품질 유동 자산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담보 제공, 재담보 제공, 재사용이 엄격히 금지된다.[7, 8] 또한, 발행자는 상환 정책 및 관련 수수료를 대중에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며, 매월 외부 회계 감사를 받고 최고경영자(CEO)와 최고재무책임자(CFO)가 보고서의 정확성을 인증해야 하는 의무가 부과된다.[7, 9]

 

감독 기관에 있어서는 연방 및 주 금융당국이 스테이블코인 발행기관을 직접 감독하게 되며, 발행 자산 규모가 100억 달러를 초과하는 경우 연방 감독으로 전환된다.[9] 법안은 스테이블코인의 법적 지위를 증권이나 예금으로 간주하지 않으며, 발행사가 파산할 경우 스테이블코인 보유자를 일반 채권자보다 우선하여 변제해야 한다고 명시하여 보유자 보호를 강화한다.[9]

빅테크 및 핀테크 기업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제한 조항 분석

지니어스 법안의 가장 주목할 만한 조항 중 하나는 빅테크 기업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사실상 금지한다는 점이다. 메타, 아마존, 구글과 같은 대형 빅테크 기업들은 금융 리스크 대비 등 특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없도록 규정된다.[5, 6]

이러한 규제의 배경에는 엘리자베스 워런 미국 상원의원과 같은 정책 입안자들의 우려가 깔려 있다. 이들은 빅테크 기업이 이미 상거래 및 플랫폼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스테이블코인까지 발행하게 되면 '금융 권력 집중'이라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6] 과거 메타의 '리브라 프로젝트'가 미국 정부의 강력한 반대로 좌초된 사례는 이러한 우려가 현실화된 대표적인 예시이다.[6]

 

흥미롭게도, 이러한 미국의 접근 방식은 다른 주요국들과 차이를 보인다. 유럽연합(EU)과 일본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규제안을 마련 중이며, 홍콩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와 스테이블코인을 모두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구조를 추진하고 있다.[5] 이는 각국이 디지털 통화에 대한 전략적 접근 방식에서 상이한 관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RLUSD 등 기존 승인 스테이블코인에 미칠 영향 진단

리플의 스테이블코인인 RLUSD는 이미 뉴욕 금융서비스국(NYDFS)으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10, 11, 12, 13] 이는 RLUSD가 미국에서 가장 엄격한 규제 환경 중 하나로 평가받는 뉴욕주 내에서 합법적으로 발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니어스 법안이 시행되면 RLUSD와 같은 주(州) 정부 승인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도 특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연방 규제 체계로 편입될 수 있다.[7, 9]

 

이는 RLUSD가 기존 뉴욕주 감독 외에 연방 차원의 감독을 추가로 받게 될 가능성을 시사하며, 특히 발행량이 100억 달러를 초과할 경우 연방 감독으로 전환될 수 있다.[9, 12]

 

지니어스 법안의 통과는 스테이블코인 시장 전반의 규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RLUSD와 같이 이미 규제 준수를 지향해 온 스테이블코인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8, 14] 이러한 규제 명확성은 기관 투자자 및 기업들이 RLUSD를 자사 운영에 통합하는 것을 더욱 장려할 수 있다.[8]


[표 1: 지니어스 법안 주요 규제 요건 및 대상별 영향 비교]

규제 요건 빅테크 기업 기존 핀테크/스테이블코인 발행사 RLUSD (뉴욕 승인 스테이블코인) 기존 은행
발행자 라이선스 취득 사실상 금지 (특정 기준 미충족 시) 연방 라이선스 취득 의무 기존 뉴욕주 승인 유지 + 연방 전환 가능성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관련 산업 진출 기회 확대
준비금 1:1 유지 해당 없음 엄격한 1:1 준비금 유지 의무 기존 뉴욕주 요건 충족 + 연방 요건 준수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적용
준비금 구성 해당 없음 고품질 유동 자산 (현금, 단기 국채) 고품질 유동 자산 (현금, 단기 국채)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적용
준비금 담보/재사용 금지 해당 없음 엄격히 금지 엄격히 금지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적용
월별 회계 감사 및 인증 해당 없음 의무 적용 의무 적용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적용
공시 의무 해당 없음 상환 정책 및 수수료 공개 의무 상환 정책 및 수수료 공개 의무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적용
자금세탁방지/제재 프로그램 해당 없음 의무 적용 의무 적용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적용
법적 지위 해당 없음 증권/예금 아님 증권/예금 아님 해당 없음
파산 시 보유자 우선 변제 해당 없음 의무 적용 의무 적용 해당 없음
감독 기관 전환 (100억$) 해당 없음 자산 100억 달러 초과 시 연방 감독으로 전환 자산 100억 달러 초과 시 연방 감독으로 전환 가능성 해당 없음

지니어스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에게 라이선스 취득, 1:1 준비금 유지, 월별 회계 감사, 공시 의무 등 엄격한 요건을 부과한다.[6, 7, 9] 특히 빅테크의 발행을 사실상 금지하는 조항은 특정 플레이어의 시장 장악을 막겠다는 정책 의지를 명확히 보여준다.[6] 이러한 엄격한 요건은 발행사의 재정적 건전성과 투명성을 크게 요구하므로, 영세하거나 규제 준수 역량이 부족한 기업들은 시장 진입이 어려워지거나 퇴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규제 준수'를 최우선 가치로 삼는 소수의 대형 플레이어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혁신보다는 규제 준수 역량이 경쟁 우위의 핵심 요소가 되는 '규제 주도형' 시장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진입 장벽이 높아져 기존 금융권 또는 대형 핀테크가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될 것이다.

 

RLUSD는 이미 뉴욕 금융서비스국(NYDFS)의 승인을 받았는데 [10, 11, 12], 뉴욕주의 승인은 미국 내에서 가장 엄격한 규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지니어스 법안이 요구하는 연방 수준의 요건들이 뉴욕주의 기존 요건과 상당 부분 겹치거나 보완적일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다. 따라서 RLUSD는 새로운 연방 규제에 비교적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으며, 오히려 '선제적 규제 준수'라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다른 스테이블코인 발행자들이 새로운 연방 규제에 적응하는 데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는 동안, RLUSD는 이미 확보된 규제 준수 역량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규제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다. 이는 기관 투자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어, RLUSD의 시장 점유율 확대와 리더십 강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규제 강화가 오히려 RLUSD의 경쟁력을 높이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8, 14]

 

제2부: 리플(Ripple)의 은행 인가 신청: 제도권 편입 전략

미국 통화감독청(OCC) 및 연방준비제도(Fed) 마스터 계좌 신청 배경 및 의미

리플 발행사 리플랩스(Ripple Labs)는 최근 미국 연방 당국인 통화감독청(OCC)에 은행업 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12, 15, 16, 17, 18, 19, 20] OCC는 미국 내 은행 인가를 관할하는 핵심 기관으로, 특히 가상자산 기업에게는 규제 문턱이 높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15, 21]

이와 더불어, 리플의 자회사인 스탠다드 커스터디 & 트러스트 컴퍼니(Standard Custody & Trust Company)는 연방준비제도(Fed)에 마스터 계좌(Master Account)를 신청했다.[12, 13, 14, 17, 20] 이 계좌가 승인되면 리플은 연준에 직접 RLUSD 준비금을 보관하고, 일반 은행 영업 시간 외에도 스테이블코인을 발행 및 상환할 수 있는 직접적인 접근 권한을 얻게 된다.[12, 13, 20]

 

이러한 리플의 움직임은 전통 금융 시스템과의 통합을 심화하고, 규제 준수 기업으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14, 19, 20, 22] 은행 인가를 통해 리플은 중개 은행을 우회하여 결제 비용을 절감하고, 거래 속도를 향상시키며, 규제 당국의 승인을 통해 전반적인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12, 14, 19, 22] 리플의 이러한 전략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Circle) 등 다른 주요 암호화폐 기업들의 유사한 은행 인가 신청 움직임과 궤를 같이하며, 이는 암호화폐 산업 전반이 제도권 금융으로의 편입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12, 13, 17, 20]

 

RLUSD의 신뢰도 제고 및 규제 준수 강화 효과

OCC 은행 인가가 승인될 경우, 리플의 스테이블코인인 RLUSD는 기존 뉴욕 금융서비스국(NYDFS)의 주(州) 감독 외에 연방 차원의 OCC 감독을 추가로 받게 된다.[12, 13, 20] 리플의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는 이러한 '이중 감독' 체계가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RLUSD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12, 13, 18, 20] 연준 마스터 계좌를 통해 RLUSD 준비금을 연준에 직접 예치할 수 있게 되면, 준비금 관리의 투명성과 안정성이 극대화되어 스테이블코인 신뢰도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12, 20] 이러한 규제 명확성과 신뢰도 증가는 기관 투자자와 기업들이 RLUSD를 자사 운영에 통합하는 것을 더욱 촉진할 것이며 [8, 14, 23], 이는 RLUSD의 유통량 증가와 시장 지위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8]

 

리플이 OCC 은행 인가 및 Fed 마스터 계좌를 신청한 것은 [12, 13, 15, 16, 17, 20] 단순히 규제 준수에 적극적이라는 것을 넘어, '규제 친화적'이라는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전략적 선택으로 분석된다. 전통 금융기관들은 규제 불확실성을 가장 큰 리스크로 인식하기 때문에, 리플이 자발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연방 규제와 중앙은행 인프라에 편입되려 하는 것은 기관 투자자들이 안심하고 리플의 기술과 자산을 채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특히 SEC와의 오랜 법적 분쟁 [17, 22, 23, 24, 25]으로 인해 쌓였던 불신을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규제 준수'를 통한 '신뢰' 확보는 리플이 전통 금융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확장하고, XRP 기반의 ODL(On-Demand Liquidity) 솔루션 및 RLUSD의 기관 채택을 가속화하는 핵심적인 경쟁 우위가 될 것이다. 이는 규제가 혁신의 발목을 잡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혁신 기업이 시장을 선도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지니어스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준비금의 1:1 유지 및 고품질 유동 자산 구성을 의무화하는데 [7], 리플이 Fed 마스터 계좌를 통해 RLUSD 준비금을 연준에 직접 예치하려 하는 움직임 [12, 20]은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준비금의 질과 관리 투명성'을 두고 경쟁하는 새로운 국면에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과거 테라-루나 사태 등은 불투명한 준비금 관리의 위험성을 여실히 보여주었으며, 연준에 직접 준비금을 예치하는 것은 최고 수준의 투명성과 안전성을 시장에 보여주는 행위이다. 이는 단순히 규제를 준수하는 것을 넘어, RLUSD가 시장에서 '가장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려는 전략이다. 향후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발행량 경쟁을 넘어, 준비금 관리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기준으로 한 '품질 경쟁'으로 전환될 것이며, 리플은 이 경쟁에서 선두 주자로 나서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리플의 XRP 에스크로 관리 전략 변화 및 시장 영향

리플은 전체 1,000억 개의 XRP 중 상당 부분(약 364억~380억 개)을 XRP 원장(XRPL)의 암호화된 에스크로 계정에 보관하고 있다.[44, 45, 46, 47] 이 에스크로 메커니즘은 2017년 말 도입되었으며, XRP 공급의 예측 가능성과 투명성을 제공하여 시장에 갑작스러운 대량 공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45, 47] 에스크로에 묶인 XRP는 특정 조건(시간 기반, 조건부 또는 복합 조건)이 충족되기 전까지는 사용되거나 파괴될 수 없다.[47]

 

에스크로 해제 방식의 변화:

과거 리플은 매월 10억 개의 XRP를 에스크로에서 해제하고, 사용되지 않은 물량(일반적으로 8억 개)은 다시 에스크로에 재잠금하는 예측 가능한 패턴을 유지해왔다.[44, 45, 46, 48, 49, 50] 그러나 2025년 3월부터 이러한 정기적인 패턴에 변화가 감지되었다. 리플은 시간 기반 해제 방식 대신 내부 재배치 및 기존 XRP 보유량에서 새로운 에스크로를 생성하는 등 더욱 유연하고 파편화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44, 49, 50, 51, 52] 예를 들어, 2025년 7월에는 5억 개의 XRP가 해제되었으나, 이 중 4억 개가 다시 에스크로에 재잠금되었고, 추가 3억 개 거래는 실패한 것으로 보고되었다.[44, 48, 49, 50] 6월에도 10억 개 해제 대신 6억 3천만 개의 XRP가 이동되었고, 6억 7천만 개가 재잠금되었다.[50, 52]

 

에스크로 물량 활용 및 RLUSD와의 관계:

이러한 에스크로 해제 물량은 주로 온디맨드 유동성(ODL) 운영, 상장지수펀드(ETP)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위해 할당되는 것으로 추정된다.[44, 49, 50, 51, 52] 리플의 에스크로 관리 전략 변화는 RLUSD와 같은 스테이블코인 출시 및 새로운 시장으로의 확장에 따른 리플의 증가하는 의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제기된다.[52]

다만, RLUSD 자체는 XRP가 아닌 미국 달러 및 단기 미국 국채와 같은 현금 등가물로 1:1 담보된다.[53, 54] 즉, 에스크로된 XRP가 RLUSD의 직접적인 준비금으로 활용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XRP는 금융기관 간의 유동성을 제공하는 브릿지 자산 역할을 하며, RLUSD가 XRP Ledger에서 발행됨으로써 네트워크의 거래량과 유동성, 채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현재 투표 중인 TokenEscrow (XLS-85) 개정안은 에스크로 기능이 트러스트라인 기반 토큰(IOU) 및 다목적 토큰(MPT)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으로, 이는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다양한 토큰 유형의 에스크로 관리에 유연성을 더할 수 있다.[55]

 

시장(XRP 가격)에 미치는 영향:

단기적으로 최근 에스크로 활동은 XRP 가격에 미미한 하락(예: 4억 XRP 재잠금 후 $2.19로 하락)을 가져왔지만, 즉각적인 가격 영향은 제한적이었다.[48] 비정상적인 에스크로 활동과 리플의 공급 통제에 대한 의문은 투자자들의 열정을 다소 누그러뜨릴 수 있다.[48]

장기적으로는 에스크로 메커니즘 자체가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여 가격 안정화에 기여한다.[45] 현재의 토큰 판매 속도가 유지된다면, 에스크로된 XRP는 2035년에서 2038년 사이에 소진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수요에 따라 XRP를 희소하고 훨씬 더 비싸게 만들 수 있다.[46] 또한, 리플의 SEC 소송 해결과 같은 규제 명확성 확보는 XRP의 기관 채택을 촉진하고 가격 상승의 주요 촉매제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리플의 은행업 진출 소식 또한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며, 기관급 접근이 XRP의 장기적인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기대감을 불러일으킨다.

 

제3부: 전통 금융권과의 관계 재편: 경쟁과 협력의 지형 예측

리플의 경쟁 우위: 속도, 비용 효율성, 투명성 (SWIFT 시스템과의 비교)

기존 SWIFT 시스템은 여러 중개 은행을 거치며 거래 지연(1-5일), 높은 수수료(건당 10~50달러 이상), 낮은 투명성 등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1, 2, 3, 26] 반면 리플의 XRP 원장(XRPL)은 독자적인 합의 메커니즘을 통해 거래를 3~5초 만에 완료하며, 초당 1,500건의 거래 처리(TPS)가 가능하다.[1, 2, 3, 26, 27, 28] XRP 거래 수수료는 건당 약 0.0002달러로, SWIFT 대비 현저히 낮아 은행들이 송금 비용을 최대 60%까지 절감할 수 있게 한다.[1, 2, 3, 26, 28] 또한, XRP는 공개 원장(public ledger)을 통해 실시간 거래 추적을 제공하여 투명성과 보안성을 높인다.[2, 3] ODL(On-Demand Liquidity) 서비스를 통해 은행들이 선자금(pre-funding) 계좌를 유지할 필요 없이 XRP를 브릿지 통화로 활용하여 유동성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도 리플의 핵심 강점이다.[1, 29, 30]


항목 SWIFT 리플/XRP
거래 속도 1-5일 3-5초
거래 비용 $10-$50+ (중개 수수료 포함) $0.0002 (거의 제로)
유동성 관리 노스트로 계좌 기반 선자금 요구 ODL 기반 온디맨드 유동성 제공
투명성 낮은 실시간 추적 및 투명성 높은 실시간 투명성 (공개 원장)
보안 메시징 시스템 보안 (중앙화) 블록체인 기반 보안 (분산화)
네트워크 규모 11,000+ 기관, 200+ 국가 300+ 기관, 90+ 국가
기술 기반 레거시 메시징 시스템 블록체인/분산원장기술(DLT)
규제 준수 현황 완전 규제 준수 (수십 년간 구축) 규제 준수 노력 중 (다수 라이선스 확보, SEC 소송)
주요 활용 분야 국제 메시징, 대규모 은행 간 결제 국경 간 결제/송금, RWA 토큰화, CBDC

기존 메이저 은행 및 IB와의 경쟁 구도 심층 분석

리플이 OCC 은행 인가를 획득할 경우, 미국 연방 및 주 정부의 감독을 받는 공식 금융기관으로 격상되어 기존 전통 은행들과 직접 경쟁하는 위치로 부상하게 된다.[21, 31] 이는 리플이 기존의 국경 간 결제 솔루션을 넘어, 수탁(custody), 결제 청산(payment clearing), 정산(settlement) 등 은행의 핵심 서비스를 직접 제공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19]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전면적인 경쟁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이다. 일부 관측통들은 기존 은행 산업이 암호화폐 기업의 은행 인가 획득에 반대할 것으로 예상한다.[17] 이는 기존 금융권의 기득권 보호 및 새로운 경쟁자 출현에 대한 경계심에서 비롯될 수 있다. 리플은 기술적 우위(속도, 비용)를 바탕으로 기존 은행의 비효율적인 영역(특히 국경 간 결제)을 침식할 수 있지만, 은행들은 광범위한 고객 기반, 오랜 신뢰, 다양한 금융 상품 포트폴리오 등 고유의 강점을 가지고 있어 전면적인 대체보다는 특정 서비스 영역에서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략적 파트너십 및 공동 협력 관계 확장 가능성 진단 (RippleNet, ODL 사례 중심)

리플은 이미 전 세계 300개 이상의 금융기관과 파트너십을 맺고 RippleNet을 통해 국경 간 송금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26, 29, 30] 산탄데르(Santander),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merican Express), SBI 홀딩스(SBI Holdings), 태국 SCB, 한국 신한은행, 인도 IndusInd Bank 등이 대표적인 협력 사례이다.[1, 2, 24, 26, 29, 30] 이들 금융기관은 리플 기술을 통해 송금 비용 절감(최대 60%), 거래 속도 향상(몇 초 이내), 유동성 관리 효율화 등의 실질적인 혜택을 얻고 있다.[1, 2, 3, 26, 27, 28, 29, 30]

 

리플의 은행 인가 획득은 기존 파트너십을 더욱 심화시키고 새로운 협력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규제 준수 기관으로서의 지위는 전통 금융기관들이 리플과의 협력을 더욱 신뢰하고 확장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14, 22, 23] XRP 원장(XRPL)은 결제 외에도 실물자산 토큰화(RWA), DeFi, NFT, 소액 결제(micro-payments), 공급망 금융 등 다양한 금융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1, 29, 30] 리플은 OpenPayd와 같은 금융 서비스 인프라 제공업체와 협력하여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강화하고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32] 이는 은행들이 리플과 협력하여 새로운 디지털 자산 기반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표 3: 리플의 주요 기관 파트너십 현황 및 협력 분야]

파트너 기관 협력 분야 주요 성과/특징
Santander 국경 간 송금/결제 효율화 One Pay FX 서비스 개발, 연간 2천만 달러 비용 절감 효과 [1, 26, 29]
American Express 기업 간 결제 개선 미국-영국 간 실시간 기업 간 결제 시스템 개선 테스트 [26]
SBI Holdings 국경 간 송금/유동성 관리 일본-태국, 일본-필리핀 송금에 XRP 활용, 아시아 지역 XRP 유동성 증진 [19, 26, 29]
Siam Commercial Bank (SCB) 국경 간 송금 효율화 SCB Easy 앱을 통한 실시간, 저비용 송금 [1, 26, 29]
Shinhan Bank 국경 간 송금 서비스 테스트 한일 간 송금 시스템 개선 목표 [26]
IndusInd Bank 국경 간 송금 서비스 개선 UAE-인도 간 송금 실시간 처리 (기존 2-3일 소요) [26]
MoneyGram (과거) ODL 서비스 도입 (SEC 소송 후 중단) 미국-멕시코 간 송금 서비스 제공 (과거) [29]
Azimo ODL 기반 필리핀 송금 유럽-필리핀 송금 서비스 효율화 [26, 29]
Nium 동남아시아 지역 송금 동남아시아 지역 송금 효율화 [26, 29]
BDACS XRP 및 RLUSD 수탁 서비스, XRPL 생태계 지원 한국 기관 투자자를 위한 커스터디 솔루션 제공 [33, 34]
OpenPayd 스테이블코인 결제 및 금융 인프라 통합 RLUSD 직접 발행/소각 지원, 전통 금융-블록체인 연결 플랫폼 구축 [32]
중앙은행 (팔라우, 홍콩, 부탄, 콜롬비아, 몬테네그로) CBDC 플랫폼 개발 및 시범 프로젝트 협력 CBDC 발행 및 관리 솔루션 제공, 금융 포용성 증진 [35, 36, 37, 38]

 

리플의 기술은 SWIFT 대비 압도적인 속도와 비용 효율성을 제공하며 [1, 2, 3], 이미 산탄데르, SBI 등 다수의 전통 금융기관이 리플넷을 활용하고 있다.[1, 24, 26, 29, 30] 이러한 전통 금융기관들이 리플과의 협력을 확대하는 것은 단순히 비용 절감과 효율성 증대라는 단기적 이점 때문만이 아니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이 더 이상 '위협'이 아닌 '기회'이자 '필수적인 인프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SWIFT 역시 ISO 20022 표준 마이그레이션 등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인 점 [2]은 이러한 인식을 반영한다.

 

즉, 전통 금융은 블록체인 기술을 자사의 핵심 서비스에 통합하려는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는 '경쟁'보다는 '공존'과 '협력'의 하이브리드 모델로 진화할 가능성이 높다. 리플의 은행 인가 신청은 이러한 하이브리드 모델의 정점을 보여주며, 전통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내재화하거나, 리플과 같은 규제 준수 핀테크와 파트너십을 통해 디지털 자산 시장에 진출하는 전략을 더욱 적극적으로 모색하게 될 것이다. 이는 금융 시스템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리플은 국경 간 결제 솔루션(RippleNet, ODL)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1, 30], 최근 OCC 은행 인가 신청을 통해 수탁, 결제 청산, 정산 서비스 제공 가능성을 열었다.[19] 또한, XRP 원장은 RWA 토큰화, DeFi, NFT 등 다양한 금융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1, 29, 30]

 

OpenPayd와의 협력은 스테이블코인 결제 강화 및 전통 금융-블록체인 연결에 초점을 맞춘다.[32] 리플의 은행 인가 신청은 단순히 결제 효율성 증대를 넘어, 전통 은행이 제공하는 핵심 금융 인프라 서비스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명확한 의지를 보여준다. 이는 리플이 '결제 전문 기업'에서 '종합 금융 인프라 제공자'로 진화하려는 '수평적 확장'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XRP 원장의 기술적 유연성은 이러한 확장을 뒷받침한다. 이 전략이 성공한다면, 리플은 기존 은행들과 특정 서비스에서 경쟁하면서도, 동시에 그들의 디지털 자산 관련 니즈를 충족시키는 핵심 파트너가 될 수 있다.

 

이는 금융 산업 내에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범위를 넓히고, 전통 자산과 디지털 자산 간의 경계를 허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특히 RWA 토큰화와 같은 신흥 분야에서 리플의 인프라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4부: 리플 성공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과 규제 환경

리플의 규제적 혜택 및 직면한 도전 과제

리플은 오랜 기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법적 분쟁으로 인해 규제 불확실성에 시달려왔다.[22, 23, 24, 25] 그러나 2023년 7월, XRP의 2차 시장 판매가 증권 거래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법원의 판결은 리플에게 상당한 규제 명확성을 제공했다.[23, 24, 25] 최근 SEC와 리플 간의 상호 항소 철회 발표는 소송 종결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25] 이러한 법적 진전은 XRP 기반 ETF 승인 가능성을 높이는 등 기관 채택의 주요 걸림돌을 제거하고 있다.[23, 24, 25]

 

또한, 리플은 이미 40개 이상의 미국 주(州) 송금업 라이선스와 뉴욕주의 BitLicense를 보유하고 있어 [19, 39], 규제 환경 내에서 운영하려는 의지와 역량을 꾸준히 보여주고 있다. 지니어스 법안의 통과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규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RLUSD와 같은 규제 준수 스테이블코인의 채택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리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8, 14]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플은 여전히 몇 가지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다. 미국 통화감독청(OCC)의 은행 인가 심사는 매우 엄격하고 장기간 소요되며, 리플의 SEC 소송 이력 등 과거 규제 이슈가 심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7, 22] 기존 은행 업계의 반대 또한 예상되는 부분이다.[17] 또한, 리플이 XRP 총 공급량의 상당 부분을 보유하고 있어 중앙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며, 이는 규제 당국과 잠재적 ETF 투자자들의 관심사로 남아있다.[24] 스테이블코인 및 국경 간 결제 시장에는 테더(USDT), USDC 등 강력한 기존 플레이어와 혁신적인 경쟁자들이 많아 시장 경쟁 또한 치열하다.[13]

 

기관 수요 강점 활용을 위한 추가 제도적 지원 방안

리플이 기관 수요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성공적으로 제도권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추가적인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XRP 기반 ETF 승인은 기관 자본의 대규모 유입을 촉진하고, XRP의 유동성을 높이며, 전통 금융 내에서 XRP의 정당성을 강화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제도적 지원이다.[19, 23, 24, 25, 28, 40] SEC 소송의 최종 해결이 이 승인의 핵심 전제 조건이다.

 

둘째, 스테이블코인뿐만 아니라 더 넓은 디지털 자산 전반에 걸쳐 예측 가능하고 일관된 연방 규제 프레임워크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는 규제 불확실성을 줄여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를 더욱 확대할 것이다.

 

셋째, 규제 당국이 전통 금융기관과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기업 간의 협력을 장려하는 정책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규제 샌드박스 제도 확대 등이 효과적일 수 있다. 넷째,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개발에 있어 민간 기업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허용하고, 다양한 CBDC 및 기존 스테이블코인 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기술 및 규제 표준을 마련해야 한다.[35, 36]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개발 협력 및 정부 지원 이니셔티브

리플은 중앙은행, 정부, 금융기관이 자체 CBDC를 원활하게 발행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엔드투엔드 솔루션인 '리플 CBDC 플랫폼'을 출시했다.[35, 37] 이 플랫폼은 XRP Ledger와 동일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며, CBDC의 전체 수명 주기 관리를 지원한다.[37] 리플은 이미 팔라우 공화국, 홍콩 금융관리국(HKMA), 부탄 왕립 통화청, 콜롬비아, 몬테네그로 등 5개 중앙은행과 CBDC 프로젝트를 협력하고 있으며 [35, 36, 37, 38, 41], 이는 리플이 CBDC 개발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리플은 세계경제포럼(WEF)의 핀테크 이니셔티브에 참여하여 중앙은행, 규제기관, 금융기관과 협력하고 있으며, CBDC 정책을 대표하고 있다.[41] 미국 내 암호화폐 교육 개선을 위한 비영리 단체 설립(National Cryptocurrency Association) 및 기부 [42], 브라질 홍수 구호 활동 기부 [43] 등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해 정부 및 대중과의 신뢰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CBDC 협력 및 공공 이니셔티브 참여는 리플이 단순한 기술 기업을 넘어 '규제 친화적 핀테크'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정부 정책 방향과 보조를 맞추려는 전략을 보여준다.[41]

 

리플은 SEC 소송으로 인해 오랜 기간 규제 불확실성에 시달렸으나 [22, 23, 24, 25], 2차 시장 판매 비증권성 판결 [24, 25]과 항소 철회 [25]로 규제 명확성이 확보되자, XRP ETF 승인 기대감이 높아지고 기관 유입 가능성이 커졌다.[23, 24] RLUSD 유통량 또한 급증했다.[8] 기관 투자자들은 '규제 리스크'를 가장 큰 투자 장애물로 여기는데, 리플 사례는 이 리스크가 해소될 때 비로소 대규모 기관 자본이 유입되고, 해당 디지털 자산의 유틸리티가 실제 시장에서 발현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즉, 기술적 우위나 시장 잠재력만으로는 기관 채택을 이끌어내기 어려우며, '규제 명확성'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강력한 증거이다. 이는 리플뿐만 아니라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향후 다른 디지털 자산들도 기관 채택을 목표로 한다면, 법적 지위의 명확화와 규제 당국과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수적인 성공 요인이 될 것이다. 리플은 이러한 '규제 친화적 성장 모델'의 선례를 제시하고 있다.

 

리플은 자체 CBDC 플랫폼을 개발하고, 5개 중앙은행과 CBDC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35, 37] 또한, 세계경제포럼(WEF)과 같은 국제 기구와 협력하며 CBDC 정책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41] 이러한 움직임은 리플이 단순히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국가 차원의 디지털 통화 인프라 구축에 필수적인 '공공-민간 협력'의 선구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앙은행들은 CBDC 발행 시 기술적 전문성, 보안, 상호운용성, 그리고 민간 부문의 혁신 역량을 필요로 하는데, 리플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하며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이 단순히 민간 영역의 혁신을 넘어, 국가의 통화 시스템이라는 핵심 공공 인프라에 통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리플의 이러한 역할은 미래 디지털 금융 시스템이 공공과 민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구축될 것이라는 비전을 강화한다.

 

결론 및 로드맵: 디지털 금융의 미래 비전과 리플의 역할

종합 분석 및 핵심 요약

미국 지니어스 법안의 등장은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연방 차원의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며, 특히 빅테크 기업의 발행을 제한하고 기존 발행자에게 엄격한 준비금 및 공시 의무를 부과함으로써 시장의 안정성과 투명성을 제고하려는 의지를 명확히 했다. 이러한 규제 강화는 시장의 진입 장벽을 높여 '규제 준수' 역량이 핵심 경쟁 우위가 되는 '규제 주도형' 시장으로의 재편을 가속화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 과정에서 리플의 RLUSD는 이미 뉴욕 당국의 승인을 받은 '규제 프리미엄'을 바탕으로 시장 리더십을 강화할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리플의 최근 미국 통화감독청(OCC) 은행 인가 및 연방준비제도(Fed) 마스터 계좌 신청은 단순한 사업 확장을 넘어, 전통 금융 시스템과의 통합을 심화하고 '규제 준수'를 통한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이는 RLUSD의 신뢰도를 극대화하고,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준비금의 질과 관리 투명성'을 기준으로 한 '품질 경쟁'을 선도하려는 리플의 의지를 보여준다. 또한, 리플의 XRP 에스크로 관리 전략 변화는 유동성 관리의 유연성을 높이고 ODL, ETP, 전략적 파트너십 등 다양한 용도로 XRP를 활용하려는 의도를 시사한다.

 

전통 금융권과의 관계에 있어서 리플은 SWIFT 시스템 대비 압도적인 속도와 비용 효율성을 바탕으로 국경 간 결제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다. 리플의 은행 인가 획득은 기존 은행의 핵심 서비스 영역으로의 직접적인 경쟁을 예고하지만, 동시에 다수의 주요 금융기관과의 기존 파트너십을 심화시키고 결제 외의 실물자산 토큰화(RWA), DeFi 등 다양한 금융 인프라 영역으로의 '수평적 확장'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는 전통 금융이 블록체인 기술을 위협이 아닌 기회로 인식하며 '하이브리드 모델'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리플의 성공적인 제도권 편입은 SEC 소송 해결을 통한 규제 리스크 해소가 기관 채택의 핵심 동인임을 입증하는 사례이며, 이는 다른 디지털 자산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리플이 CBDC 플랫폼을 개발하고 여러 중앙은행과 협력하며 세계경제포럼(WEF)과 같은 국제 기구에 참여하는 것은 '공공-민간 협력'을 통한 '디지털 통화 인프라' 구축의 선구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래 금융 시스템의 비전: 규제된 혁신과 상호운용성

궁극적으로, 지니어스 법안과 리플의 전략적 움직임이 결합된 미래 금융 시스템은 '규제된 혁신'과 '상호운용성'을 핵심 가치로 삼을 것이다. 이는 단순히 블록체인 기술이 전통 금융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엄격한 규제 프레임워크 내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효율성과 투명성이 전통 금융의 안정성 및 광범위한 도달 범위와 결합되는 '하이브리드 금융 생태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비전 속에서 스테이블코인은 국경 간 결제, DeFi, RWA 토큰화 등 다양한 디지털 금융 서비스의 핵심 중개 통화로 기능하며, 전통 화폐와 디지털 자산 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는 국가 주도의 디지털 통화로서 금융 포용성을 증진하고 결제 효율성을 높이며, 민간 스테이블코인과 상호운용 가능한 형태로 발전할 것이다. 전통 은행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내재화하거나, 리플과 같은 규제 준수 핀테크 파트너와 협력하여 새로운 디지털 자산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며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리플은 이러한 미래 금융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인프라 제공자이자 솔루션 공급자로서 자리매김할 것이다. XRP Ledger는 빠르고 저렴하며 확장 가능한 결제 레이어로서 기능하고, RLUSD는 기관 및 기업의 신뢰할 수 있는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 광범위하게 채택될 것이다. 리플의 은행 인가 획득은 이러한 인프라에 대한 신뢰를 더욱 공고히 하고, 전통 금융기관과의 협력을 가속화하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1] 리플 은행 라이선스 전통 금융기관 영향 - The One TV
  2. [2] 지니어스 법안 핵심 내용 - 다음 뉴스
  3. [3] 미국 연방 스테이블코인 법안 주정부 승인 스테이블코인 영향 - 더 일렉
  4. [4] 지니어스 법안의 빅테크 스테이블코인 발행 금지 조항 상세 - 뉴스1
  5. [5] 리플 은행 라이선스 기존 은행 직접 경쟁 서비스 - 뉴시스
  6. [6] 리플 기관 파트너십 미래 - ZDNet Korea
  7. [7] 지니어스 법안 스테이블코인 규제 - SBS Biz
  8. [8] 빅테크 핀테크 스테이블코인 발행 금지 법안 - 뉴스1
  9. [9] 빅테크 핀테크 스테이블코인 발행 금지 법안 - SBS Biz
  10. [10] 리플 은행 신청 구체적인 정보 - 뉴시스
  11. [11] 미국 연방 스테이블코인 법안 주정부 승인 스테이블코인 영향 - 한국금융연구원
  12. [12] 리플 중앙은행 협력 CBDC - 디지털투데이
  13. [13] 지니어스 법안 스테이블코인 규제 - ZDNet Korea
  14. [14] 리플 은행 신청 구체적인 정보 - 조선일보
  15. [15] 리플 은행 라이선스 기존 은행 직접 경쟁 서비스 - 글로벌이코노믹
  16. [16] 리플 전통 은행 협력 결제 외 분야 - 재능넷
  17. [17] 리플 중앙은행 협력 CBDC - 포춘코리아
  18. [18] 리플 정부 지원 이니셔티브 - 팬딩
  19. [19] 리플 기관 채택 동인 - 한국경제
  20. [20] 리플 기관 파트너십 미래 - 한국경제
  21. [21] 리플 성공 위한 제도적 뒷받침 - YouTube
  22. [22] 리플 제도적 지원 사례 - 재능넷
  23. [23] 지니어스 법안의 구체적인 내용, 스테이블코인 발행자 요건, 준비금 기준, 공시 의무, 빅테크 규제 상세 - ZDNet Korea
  24. [24] Ripple official blog escrow update - TradingView News
  25. [25] 리플 은행 라이선스 전통 금융기관 영향 - Mitrade
  26. [26] 지니어스 법안이 RLUSD와 같은 뉴욕 승인 스테이블코인에 미치는 영향 - The Block
  27. [27] Ripple government support initiatives - Cointelegraph
  28. [28] 리플 제도적 지원 사례 - 디라이트 법률사무소
  29. [29] Ripple SEC fine payment method XRP escrow - Finance Magnates
  30. [30] 리플 성공을 위한 정부 정책 지원 - Cryptomus
  31. [31] Ripple official blog escrow update - TradingView News
  32. [32] Ripple escrow unlock mechanism change stablecoin reserves - XRP Ledger
  33. [33] RLUSD stablecoin 뉴욕 승인 - YouTube
  34. [34] XRP price impact national reserve speculation - Brave New Coin
  35. [35] Ripple collaboration with central banks CBDC - Mastercard
  36. [36] Ripple escrowed XRP utilization RLUSD reserves - Pintu News
  37. [37] XRP escrow unlock impact on XRP price analysis - FXStreet
  38. [38] XRP escrow potential use national reserve - AInvest
  39. [39] Ripple banking license direct competition traditional banks services - CoinDCX
  40. [40] Ripple collaboration with central banks CBDC - 101 Blockchains
  41. [41] XRP price impact national reserve speculation - FXStreet
  42. [42] Ripple official blog escrow update - XRP Ledger
  43. [43] Ripple escrowed XRP for RLUSD reserves official - TikTok
  44. [44] US government digital asset acquisition through fines and penalties policy - NCSL
  45. [45] Ripple financial institution status - American Banker
  46. [46] Ripple government support initiatives - 101 Blockchains
  47. [47] Ripple institutional partnerships future - AInvest
  48. [48] Ripple XRP escrow direct government purchase - AInvest
  49. [49] US Treasury Department crypto strategic reserve official statements - The White House
  50. [50] XRP escrow changes long-term price impact analysis - XRP Ledger
  51. [51] Ripple regulatory clarity impact on partnerships - AInvest
  52. [52] 리플 정부 지원 이니셔티브 - CryptoDnes
  53. [53] stablecoins US national debt solution - ARK Invest
  54. [54] Ripple banking license impact on correspondent banking - CoinDCX
  55. [55] SEC Ripple joint motion to reduce fine denial background - Cointelegraph
  56. [56] Ripple official announcement escrow changes - Cointelegraph
  57. [57] Ripple financial institution status - Cointelegraph
  58. [58] Ripple institutional partnerships future - CME Group
  59. [59] Ripple newsroom escrow management strategy - CoinSpeaker
  60. [60] Ripple banking license direct competition traditional banks services - Cointelegraph
  61. [61] Ripple institutional adoption drivers - AInvest
  62. [62] Ripple XRP escrow direct government purchase - Cointelegraph
  63. [63] Ripple official blog escrow update - XRP Ledger
  64. [64] Judge Analisa Torres denial of Ripple SEC settlement reduction reasons - Banking Dive
  65. [65] Ripple banking application impact on traditional banks - EXP Science
  66. [66] Judge Analisa Torres denial of Ripple SEC settlement reduction reasons - AInvest
  67. [67] Ripple banking license application details - PYMNTS.com
  68. [68] stablecoins US national debt solution - CEPR
  69. [69] Genius Act federal stablecoin regulation impact on state-approved stablecoins like RLUSD - Goodwin Law
  70. [70] Ripple escrowed XRP for RLUSD reserves official - TikTok
  71. [71] Ripple banking license impact on correspondent banking - Cointelegraph
  72. [72] XRP escrow changes long-term price impact analysis - CME Group
  73. [73] Ripple official statement escrow unlock strategy change - Cryptomus
  74. [74] SEC Ripple joint motion to reduce fine denial background - Cointelegraph
728x90
반응형